스타벅스 보안 와이파이 비밀번호
(스벅 wifi secure 보안 접속 이용 비번)
스타벅스에 가서 커피나 차를 마시면서 공부하는 사람들이 많다. 특히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으로 무선인터넷 접속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접속을 하려면 두 가지 방법이 있다.
KT_starbucks
KT_starbucks_Secure
위 두 가지 접속이 가능하다.
차이는 보안 유무와 비번 입력 유무.
KT_starbucks 접속
: 비번 불필요, 보안에 상대적으로 취약함
KT_starbucks_Secure 접속
: 비번 필요, 보안에 상대적으로 강함
결론: 카페나 공용 와이파이 사용 시 자물쇠 모양이 있거나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보안 접속을 하는 것이 좋다.
왜냐하면 비번 입력하는 것만 추가하면 되므로 크게 수고스럽거나 어렵지 않고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. 전문용어로 보안 SSID로 접속한다고 한다.
그런데 종종 스타벅스 직원에게 와이파이 접속을 물어보면 비번이 불필요한 KT_starbucks에 접속해서 쓰라고 한다.
KT_starbucks_Secure 보안 접속을 위해 비번을 물어봐도 비번을 모른다고 하거나 접속이 안 된다고 하고, 그냥 KT_starbucks 프리 접속하면 된다고만 답변한다.
물론 일부 스타벅스 지점 또는 그곳의 일부 직원에 대한 경험이라 대부분의 스타벅스에서는 정확히 알려줄 것이라 생각은 하지만 KT_starbucks 접속과 KT_starbucks_Secure 접속의 차이를 대부분은 알지 못하고 어차피 둘 다 인터넷은 연결이 되기 때문에 비번 입력 없이 그냥 쓰는 와이파이를 쓰라고 하고 이용자도 그냥 쓰는 경우가 있는 것 같다.
하지만 앞서 결론에서 언급했듯이 그냥 보안 접속을 하자.
보안 접속을 하고는 싶은데 스타벅스 직원도 잘 모르고, 영수증에도 비번이 안 나와 있고, 안내문도 없는 경우...
그래서 직접 찾아보았다.
스타벅스 무선인터넷은 KT를 쓰니까... 찾아보니...
KT_starbucks_Secure 연결 선택
-> 모두 소문자로
사용자 이름(아이디) starbucks
비밀번호 starbucks 입력
혹시 안 되면 반복해서 다시 시도하면 된다. 와이파이 신호가 잘 안 잡히며 끊길 때 하니까 비번을 정확히 입력하더라도 바로 연결이 되지 않더라. 몇 번 다시 시도하니까 와이파이 신호가 잡힐 때 연결을 했는지 성공했다.
스마트폰에서 연결하는 것은 비번만 입력하고 신뢰(예, OK) 그런 거 터치, 연결하니 바로 되었다.
다른 설정 없이 그냥 starbucks 두 번 입력하니 노트북과 스마트폰 모두 무선인터넷이 연결되었다.
그래도 접속이 안 된다면?
자세한 설명을 보고 세부 설정을 변경하며 천천히 해 보면 된다.
스타벅스 와이파이 보안 접속 가이드 파일 첨부
Starbucks WiFi Secure Guide.pdf
스타벅스 wifi 보안 접속 이용 안내(아래 링크 클릭)
KT 스벅 시큐어 보안 SSID 접속 안내 페이지 클릭